영화/영화리뷰

영화 밀정 리뷰

반응형







밀정 (The Age of Shadows) 후기

우리는 실패해도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김지운 감독의 새로운 작품 <밀정>이다.  1920년대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황옥경부사건'이라는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이다. 실화에 기초한 영화이지만, 영화 내용 자체는 추측에 가깝다. 이 각본의 주인공들로 등장하는 배우들이 화려하다. 송강호 (이정출 역), 공유 (김우진 역)이 주연으로 등장하고 한지민 (연계순 역), 엄태구 (하시모토 역), 신성록 (조회령 역), 허성태 (하일수 역), 츠루미 신고 (히가시 역) 등이 조연으로 등장한다. 또 이병헌 (정채산 역), 박희순 (김장옥 역)이 특별 출연했다. <밀정>은 이 배우들의 열연을 앞세워 일제 시대의 암담하고 침울한 분위기를 강렬한 서스펜스로 잘 담아냈다. 아래부터 스포일러 있음.





'밀정'의 뜻은 남몰래 사정을 살피는 행위나 그 행위를 하는 사람을 뜻하며, '첩자, 간첩, 스파이'이와 동일한 단어이다. <밀정>에서는 송강호가 연기한 이정출이 밀정이자 이중 스파이로 등장한다. <밀정>은 이 스파이 소재를 통해 첩보 느와르 장르의 향을 물씬 풍긴다. 이와 비슷한 느낌의 영화로는 냉전 시대의 스파이 소재를 다룬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가 있다. <밀정>은 일제 시대의 스파이 소재인 영화인 셈이다. 하지만 미국-소련의 관계와, 조선-일본의 관계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영화 흐름은 사뭇 다르다.





이정출은 본래 조선인 출신의 일본 경찰이었다. 직책은 경부이며, 우리나라의 경감에 해당하는 경찰 간부이다. 이정출은 본인의 사리사욕과 생존을 위해 일본에 충성을 바쳤던 인물이었다. 이정출은 의열단 체포로 업적을 이루려 했으나, 하시모토 경부이라는 경쟁자로 인해 자신의 자리에 위기감을 느낀다. 그러던 도중 의열단원 김우진과 의열단장 장채산을 만나며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하기 시작한다. 이 고뇌의 캐릭터 이정출은 송강호의 열연에 힘입어 입체적인 캐릭터로 탄생했다. 





이정출은 실제 인물 '황옥'을 토대로 재구성한 가상의 인물이다. 황옥이 알려진 이유는 '황옥 사건' 때문이다. 황옥 사건은 1922년 의열단이 조선총독부와 총독부 핵심 인물을 암살하려다가 실패한 사건이다. 황옥 사건의 핵심은 의열단원 김시현이었지만, 이 사건에 당시 현직 경부였던 황옥이 참여했기 때문에 '황옥 사건'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시현은 일본 경찰 경부이면서 상해에 위치한 독립운동단체 '고려공산당'의 비밀당원이었던 황옥에게 협조를 구한다. 황옥은 폭탄과 권총 등을 톈진으로부터 서울까지 무사히 반입시킨다. 하지만 황옥의 석연치 않은 행동으로 인해 황옥을 포함한 김시현 등의 의열단 일행이 체포되고 만다. 재판에서 황옥과 김시현은 징역 10년을 선고받지만, 황옥은 1년 뒤 가석방된다. 

이로 인해 황옥이 정말 김시현의 동료였는지, 김시현을 체포하기 위해 유인한 것인지 의문이 생기게 된다. 명확한 답은 없지만 학계에서는 후자, 즉 황옥이 일본을 위해 활동한 밀정이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영화 <밀정> 속의 이정출은 황옥에 대한 의문에서 "황옥이 조선을 위해 활동한 밀정이었다면 어땠을까"라는 가정을 두고 각색한 인물이다.





김우진은 실제 인물 김시현을 토대로 각색한 가상의 인물이다. 공유가 연기한 김우진은 영화 <밀정>의 멋쟁이이자, 이정출을 독립운동의 길로 인도하는 인물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독립운동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찬 인물로 일관되게 그려진다. 기차 안에서 진짜 밀정을 찾기 위해 트릭을 주는 모습이 김우진의 핵심이다. 하지만 더 인상적인 장면은 법정에서 이정출에게 보여주는 의미심장한 미소였다. 실제로 김시현은 10년형을 선고받았고, 그 이후 다시 만주로 망명하여 길림에서 독립활동을 하였다. 하지만 다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지만, 또다시 출옥 후 독립활동을 이어하며 광복할 때까지 독립운동을 한 독립운동가였다.





연계순은 실제 인물 현계옥을 토대로 각색한 가상의 인물이다. 영화 <밀정> 속의 연계순은 외국어 실력이 능통한 미모의 의열단원으로 등장하며, 김우진과의 묘한 감정선이 그려진다. 이런 콜드 느와르에서 로맨스는 사족이기 때문에, 이런 감정선을 아예 뺐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실제 현계옥은 화류계에서 유명했던 당대의 최고의 기생으로 알려져 있다. 현계옥은 기생으로 활동하던 도중 현정건을 만나게 되고, 현정건이 독립운동을 하러 떠나자 자신도 같이 떠나 독립운동을 함께 하게 된다. 영화에서는 연계순이 옥사한 것으로 등장하지만, 실제 현계옥은 남편 현정건이 옥살이의 후유증으로 병사하자 시베리아로 망명하여 다시는 조국 땅을 밟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시모토 경부는 조연급 캐릭터였지만 인상적인 인물이었다. 이정출과 경쟁하는 인물이며, 조선에서 일본으로 귀화한 일본 경찰이다. 영화에서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자신의 부하에게 따귀를 때리는 장면이다. 어찌나 빠르고 찰지게 때리던지 하시모토 캐릭터는 이 장면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이외에도 많은 인물이 등장하지만, 특별 출연했던 박희순과 이병헌을 빼놓을 수 없다. 박희순이 연기한 김장옥은 영화의 시작을 알리는 인물이다. 짧게 등장하지만 강렬하다. 일본 경찰의 추격에 끝까지 버티다가 자살을 하는 것으로 그려지며, 이정출의 옛 친구로도 그려진다. 그가 남긴 엄지발가락이 이정출에게는 독립을 향한 불꽃이 되었을 것이다. 김장옥은 실제 인물인 김상옥 의사를 토대로 각색한 가상의 인물이다. 실제 김상옥은 독립운동가를 탄압하던 종로경찰서에 투탄 의거를 하였다. 이후 재등총독을 암살하기 위해 준비하다가 밀고로 인해 일본 경찰들에게 쫓기게 된다. 그리고 일경 4백여 명과 3시간가량 홀로 총격전하며 버티다가 결국 자결 순국한다.

이병헌이 연기한 정채산은 실제 인물인 김원봉을 토대로 각색한 인물이다. 영화 <밀정> 속의 정채산은 대단히 영향력 있고 위엄 있는 인물로 등장한다. 압도적인 존재감 덕분에 특별출연임에도 불구하고 분량이 많다고 느껴진다. 실제 김원봉은 의열단을 조직하여 조선의 일제 수탈 기관을 파괴하거나 요인을 암살하는 등 무력 투쟁을 하던 독립운동가였다. 광복 때까지 독립운동을 펼치다가 광복 이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위원 활동을 했었지만, 김일성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숙청되었다.





<밀정>에서 가장 하이라이트이자 영화의 판도를 바꾸는 장면은 라벨의 <볼레로>와 함께 축하 연회장을 폭파시키는 장면이다. 실제로는 없었던 일이지만, 영화에서는 이정출이 김우진에게 받은 다이너마이트 폭탄으로 연회장을 터트린다. 볼레로가 울려 퍼지며 나오는 폭파 장면은 영화 <브이 포 벤데타>의 의사당 폭발 장면과 닮았다. <브이 포 벤데타>에서는 차이콥스키의 <1812 서곡>과 함께 의사당이 멋지게 폭발한다. 

이 장면이 나오기 전까지는 콜드 느와르 장르에 충실하기 위해 배신과 음모가 난무하는 장면을 그렸다면, 이 장면부터는 감동과 복수를 위한 장면으로 영화의 분위기가 바뀐다. 그렇기 때문에 이 장면은 득과 실이 있다. 콜드 느와르 장르의 느낌을 한순간에 폭발시켜 아쉽기도 하지만, 일제에 대한 복수로 카타르시스를 주기 때문에 통쾌하기도 하다.





<밀정>은 일제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정체성에 의문을 던진 영화다. 현대에는 많은 이들이 일제시대에 대한 반일감정으로 친일파를 욕한다. 이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 그 시대에 살았다면 자신의 목숨을 바쳐 독립운동을 할 수 있었을 사람이 몇이나 있었을까. 누군가는 생계형 친일을 했었을 수도 있고, 자신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아예 독립운동에 관심을 두지 않은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또는 이정출 같이 친일에 몸을 바치다가 나중에 독립운동의 길로 노선을 변경한 사람도 있었을 것이고, 그와 반대로 독립운동을 하다가 독립의 희망을 포기하고 친일의 길로 접어든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사람들 중에 누구를 욕해야 하며, 이들을 욕할 자격이 있는 사람은 과연 누구일까. "우리는 실패해도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 실패가 쌓이고, 우리는 그 실패를 딛고, 더 높은 곳으로 나아 가야 합니다." 정채산의 대사처럼 실패를 겪고도 계속 앞으로 나간 사람이어야만 자격을 갖춘 것일까. 정답은 없겠지만, 확실한 것은 하나 있다. 그들이 어떤 선택을 했던, 그들의 행동은 역사로 기록되었고, 그 역사를 본 후손들에게 평가를 받는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는 왜곡되어서도, 기록되지 않아서도 안될 것이다.




반응형